부가세 2

권리금(영업권) 지급에 관한 세무 처리

권리금은 주로 상가를 이전에 임차했던 사람에게 내는 관행상의 금전으로 장사가 잘되어 돈을 버는 것을 기대하여 내는 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권리금은 실체가 없는 무형자산에 해당이 되는데요. 그 정의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. ⊙ 무형자산: - 물리적 실체는 없지만 식별 가능한 비화폐성 자산 - 회계정 자산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으며, 이름 활용하여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- 자산의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을 때 인식하며, 인식 이후에 상각 진행 시 내용연수가 유한한 경우 상각 하며, 비한정인 경우 상각 하지 않고 손상여부만 검토. ▷ 부가가치세 과세 여부 사업자가 사업과 관련된 영업권을 양도하는 경우 - 부가세를 과세한다. 사업에 관한 모든 권리의무..

부가세 2020.11.02

부가가치세 불공제, 공제 대상 바로알기!

부가가치세 신고를 할 때 간혹 가다 나오는 매입에 대해서 공제를 해야 되는지 아닌지 헷갈리는 경우가 종종 생기곤 하는데요. 이번에 다시 한번 공제 대상에 대해서 알아보고 기억할 수 있게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공제대상 중에 헷갈리는 것 중에 하나가 상품권이라 생각이 드는데요 먼저 알아보고 갈게요~ 상품권 부가세 매입세액 공제 가능한가???? 상품권 구매는 부가세 공제가 되지 않습니다. - 불공제 - - 상품권은 재화가 아니기에 매입세액 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. ( 선불 전화카드, 선불 교통카드, 모바일 쿠폰, 공연 티켓, 영화입장권, 호텔 숙박권, 항공권 등등) 상품권으로 구매한 물품은 매입세액 공제 가능할까?? ​이 부분은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요 공제 가능한 경우 - 재화나 용역을 공급하고 상품권으..

부가세 2020.10.29